맨위로가기

세군다 디비시온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군다 디비시온 B는 스페인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 1929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나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다. 1977-78 시즌에 테르세라 디비시온을 대체하여 부활했으며, 2021-22 시즌부터는 4부 리그로 강등되어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각 그룹 상위 팀들이 세군다 디비시온 승격을 위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77년 LFPB로 출범한 볼리비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나뉘어 진행되며 상위 팀에게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권이 주어진다.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은 북한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서, 기술혁신경기대회에서 시작하여 홈 앤 어웨이 리그전 형태를 갖추었으며, AFC컵에 참가하고, 추춘제로 운영되며, 평양에서 대부분 경기가 개최되고, 4.25체육단이 최다 우승팀이며, 려명체육단이 최근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 2021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2004년 뉴질랜드 내셔널 사커 리그를 대체하여 창설된 뉴질랜드 축구 클럽 대회로,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으며, 참가팀 수와 경기 방식의 변화, 리그 명칭 변경을 거쳐 2021년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기 전까지 운영되었다.
  • 2021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노스 디비전 (NHL)
    노스 디비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21 NHL 시즌에 한시적으로 운영된 캐나다 연고 7개 팀으로 구성된 디비전으로, 토론토 메이플리프스가 우승했으며 리그 재편으로 해체되었다.
  • 스페인의 축구 리그 - 세군다 페데라시온
    세군다 페데라시온은 스페인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로서, 2021-22 시즌부터 기존 세군다 디비시온 B가 개편되어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90개 팀이 5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고, 각 그룹 우승팀은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으로 승격, 하위 팀들은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으로 강등된다.
  • 스페인의 축구 리그 -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은 스페인 3부 축구 리그로, 2021년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출범하여 40개 팀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상위 팀은 라리가 2로 승격, 하위 팀은 세군다 페데라시온으로 강등된다.
세군다 디비시온 B
개요
국가스페인
기타 참여 국가안도라 (1팀)
창립1977년
폐지2021년
참가 팀 수80 (4개 그룹, 각 20팀)
리그 등급3
디비전 수4
승격 및 강등
승격세군다 디비시온
강등테르세라 디비시온
컵 대회
국내 컵코파 델 레이
대륙 컵UEFA 유로파 리그 (코파 델 레이 우승팀 자격)
최근 시즌 정보
최근 우승팀부르고스 (그룹 1)
미디어
TV 방송사FORTA: ETB 1, laOtra, tvG2, TPA
기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로고
세군다 디비시온 B 로고
세군다 디비시온 B 로고

2. 역사

1929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세군다 디비시온이 창설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B''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어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세군다 디비시온 A 다음 가는 3부 리그를 지칭했다. 이 리그는 10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쿨투랄 레오네사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1] 하지만, 리그 시스템이 확정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다음 시즌에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대체되었다.[1]

1977–78 시즌에 ''세군다 디비시온 B''가 테르세라 디비시온을 대신하여 3부 리그로 부활했다. 처음에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고, 1986–87 시즌에는 22개 팀의 단일 그룹으로 진행되었다. 1987–88 시즌부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는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RFEF)은 리그 확대를 승인하여, 2019–20 시즌에 테르세라 디비시온 그룹에서 승격이 적용됨에 따라, 2020–21 시즌에 한해 20개 팀으로 구성된 5개 그룹으로 확대하고,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10개 팀으로 구성된 10개 하위 그룹으로 추가 분할하는 것을 권장했다. 또한, 2021–22 시즌에 시작된 40개 팀의 2개 그룹으로 구성된 새로운 3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가 창설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B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명칭이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변경되었다.[1][2] 2020년 테르세라 디비시온 플레이오프가 취소되어 재경기를 할 수 없게 되면서 두 팀이 추가로 승격되었다.[3]

2. 1. 초기 역사 (1929-1977)

1929년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세군다 디비시온이 창설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B''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어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세군다 디비시온 A 다음 가는 3부 리그를 지칭했다. 이 리그는 10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쿨투랄 레오네사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1] 하지만, 리그 시스템이 확정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다음 시즌에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대체되었다.[1]

이후 1977년까지 테르세라 디비시온이 3부 리그 역할을 수행했다.

2. 2. 부활과 현재 (1977-현재)

1977–78 시즌에 ''세군다 디비시온 B''가 테르세라 디비시온을 대신하여 3부 리그로 부활했다. 처음에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고, 1986–87 시즌에는 22개 팀의 단일 그룹으로 진행되었다. 1987–88 시즌부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는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RFEF)은 리그 확대를 승인하여, 2019–20 시즌에 테르세라 디비시온 그룹에서 승격이 적용됨에 따라, 2020–21 시즌에 한해 20개 팀으로 구성된 5개 그룹으로 확대하고,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10개 팀으로 구성된 10개 하위 그룹으로 추가 분할하는 것을 권장했다. 또한, 2021–22 시즌에 시작된 40개 팀의 2개 그룹으로 구성된 새로운 3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가 창설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B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명칭이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변경되었다.[1][2] 2020년 테르세라 디비시온 플레이오프가 취소되어 재경기를 할 수 없게 되면서 두 팀이 추가로 승격되었다.[3]

시즌최다 득점자클럽
1977-78호세 마누엘 트라바콤포스텔라23
그리고리오 몰레호AD 알메리아
1978-79안도니 무루아레반테23
1979-80마르셀리노 마테오스사모라21
1980-81루이스 알론소레이다21
1981-82루이스 알론소 (2)바르셀로나 B20
프란세스크 발베르데안도라
1982-83리카르도 아리엔아틀레틱 빌바오 B22
아구스틴 라사오사테네리페
1983-84페페 멜알칼라30
1984-85라몬 마스케짐나스틱20
1985-86안토니오 쿠에바스피게레스25
1986-87마놀로 무뇨스그라나다30
1987-88사비에르 에스카이치짐나스틱25
1988-89후안 카를로스 데 디에고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33
1989-90마리아노 아스코나레이다26
페드로 코르발란알바세테
1990-91후안 고메스알코야노24
1991-92아드리아노 가르시아비야레알24
1992-93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에르쿨레스32
1993-94훌리오 엔공가영어짐나스티카 토렐라베가28
1994-95하비 프렌데스아빌레스24
호세 루이스 가르손사바델
1995-96에스테판 훌리아산 안드레우23
1996-97이반 로사도레크레아티보25
1997-98키니탈라베라26
1998-99창구이폰테베드라21
1999-2000칠리짐나스티카31
2000-01키코 레이오렌세22
에고이츠 수키아베아사인
2001-02하루나 바방기다영어바르셀로나 B23
다비드 프라츠마타로
2002-03키코 라사사알라베스 B22
2003-04파울리노 마르티네스문화 레오네사21
2004-05케파 블랑코세비야 아틀레티코23
2005-06이ñ이고 디아스 데 세리오레알 소시에다드 B24
2006-07유리 데 소자pt폰테베드라24
하비 모레노코르도바
2007-08루시아노 베키오es메리다22
2008-09타리크 스페지에푸에르토야노24
2009-10아이람 로페스테네리페 B27
2010-11미켈 아루아바레나레가네스21
2011-12헤수스 페레라아틀레티코 발레아레스23
2012-13아리다네 산타나테네리페25
2013-14호셀루콤포스텔라30
2014-15미겔 리나레스오비에도28
2015-16마리아노 디아스영어레알 마드리드 B25
2016-17보르하 이글레시아스셀타 비고 B32
2017-18엔릭 갈레고코르넬라/엑스트레마두라27
2018-19아시에르 비야리브레아틀레틱 빌바오 B23
2019-20루포 산체스인테르나시오날 데 마드리드/폰테베드라 CF18
2020-21카를리토스FC 안도라15


3. 대회 구성

세군다 디비시온 B는 20개 팀으로 구성된 4개 조, 총 80개 팀으로 운영된다. 각 조의 상위 4개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하기 위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단, 리저브 팀은 상위 팀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소속되어 있을 때만 승격 자격이 주어진다.

각 조의 상위 5개 팀과 이전 20개 팀을 제외한 상위 2개 팀(리저브 팀 제외)은 다음 시즌 코파 델 레이에 진출한다. 각 조의 하위 4개 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또한, 16위 팀들은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로 강등될 2개 팀을 결정한다. 리저브 팀은 상위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될 경우 함께 강등될 수 있다. 이 디비전의 팀들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의 팀들과 함께 코파 페데라시온에 참가한다.

2008-09 시즌부터 4개 조 우승팀은 직접 승격하여 전체 '''세군다 디비시온 B''' 챔피언으로 선정될 기회를 갖게 되었다.

2019-20 시즌에는 스페인의 코로나바이러스 질병 대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중단 및 축소되면서 플레이오프 규칙이 변경되었다.

3. 1. 경기 방식

세군다 디비시온 B는 80개 팀이 20개 팀씩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한다. 각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라운드, 총 38경기를 치른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의 승점이 주어진다.

각 조의 상위 4개 팀(총 16개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할 4팀을 가리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단, 리저브 팀은 상위 팀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속해 있을 때만 승격 자격이 주어진다. 각 조의 상위 5개 팀과, 조에 관계없이 상위 2개 팀(리저브 팀 제외)은 다음 시즌 코파 델 레이에 진출한다. 각 조의 하위 4개 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되며, 16위 팀들은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로 강등될 2팀을 결정한다. 리저브 팀은 상위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될 경우 함께 강등될 수 있다. 이 디비전의 팀들은 테르세라 디비시온 팀들과 함께 코파 페데라시온에 참가한다.

2008-09 시즌부터 4개 조 우승팀은 세군다 디비시온 B 챔피언을 결정하는 경기를 치른다. 2차전으로 진행되는 이 경기에서 승리한 두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하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다. 패배한 두 팀은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2019년까지 4개 조 준우승팀은 다른 조 3위 팀 중 한 팀과, 3위 팀들은 서로 2차전 경기를 치렀다. 여기서 승리한 6팀과 준결승전 패자 2팀은 최종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팀을 결정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순위가 낮은 팀이 먼저 홈 경기를 치렀으며, 순위가 같을 경우 추첨으로 결정했다.

2019-20 시즌에는 스페인의 코로나바이러스 질병 대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중단 및 축소되면서 플레이오프 규칙이 변경되었다. 중립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준우승팀은 다른 조 3위 팀과, 3위 팀은 서로 경기를 치렀다. 승리한 6팀과 준결승전 패자 2팀이 최종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팀을 결정했다.

2020-21 시즌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유행으로 인해 리그가 3개의 스테이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제1 스테이지: 5개 그룹(각 그룹은 2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1라운드 풀 리그전을 진행.
  • 제2 스테이지: 그룹 C(승격), D(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 3부 리그 참가), E(세군다 디비시온 RFEF, 4부 리그 참가)로 나누어 1라운드 풀 리그전을 진행.
  • 승격 플레이오프: 단판 승부로 진행, 승리한 4개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

3. 2. 그룹 배정 (2019-20 시즌 기준)

2019-20 시즌의 지역별 그룹 배정은 다음과 같다. 팀 수 조정을 위해 그룹 배정이 자주 변경되며, 경우에 따라 한 개의 주가 여러 그룹으로 나뉘기도 한다.

그룹지역
그룹 1갈리시아 주, 마드리드 주, 카스티야 이 레온 주, 카스티야 라 만차 주
그룹 2아스투리아스 주, 칸타브리아 주, 카스티야 이 레온 주, 바스크 주, 나바라 주, 라 리오하 주
그룹 3카탈루냐 주, 발렌시아 주, 발레아레스 제도, 아라곤 주
그룹 4안달루시아 주, 멜리야, 카나리아 제도, 무르시아 주, 에스트레마두라 주


3. 3. 승격

각 조 상위 4개 팀, 총 16개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하기 위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2008년까지는 16개 팀을 4개 조로 재분류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했다. 2009년부터는 각 조 1위에게 더 유리한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세군다 B 챔피언을 결정하는 경기도 치러진다. 각 조 1위끼리 대결(2경기)하여 승리한 두 팀은 승격이 확정되고, 이 두 팀은 세군다 B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는다. 조 2위와 4위, 3위 간 대결에서 승리한 6팀과 1위 간 대결에서 패배한 2팀, 총 8팀은 4팀씩 두 조로 나뉘어 토너먼트를 치르고, 여기서 승리한 두 팀이 추가로 승격한다. 모든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며, 순위가 낮은 팀이 먼저 홈 경기를 치르지만, 순위가 같으면 추첨으로 결정한다.[1]

라리가 규정상 1군 팀과 리저브 팀은 같은 리그에 속할 수 없다. 따라서 1군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면, 리저브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 요건을 갖추더라도 승격할 수 없고, 차순위 팀이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얻는다.[1]

3. 4. 강등

각 그룹 하위 4개 팀, 총 16개 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자동 강등된다. 또한 각 그룹 16위 팀, 총 4개 팀은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르며, 이 중 2개 팀이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강등 플레이오프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경기로 진행되며, 승리한 팀은 잔류하고 패배한 팀은 강등된다.

리저브 팀은 상위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강등되는 경우에도 강등될 수 있다.

4. 역대 기록

## 역대 최소 실점 기록

시즌선수클럽경기실점계수
1977–78Nemesio Alonso|네메시오 알론소es알헤시라스38270.71
1978–79Vicente Amigo|비센테 아미고es김나스틱 타라고나35180.51
1979–80Jesús González Sanisidro|예수 곤잘레스 사니시드로es쿨투랄 레오네사35260.74
1980–81Joan Capó|호안 카포es셀타 비고33170.51
1981–82Vicente Gómez Mira|비센테 고메스 미라es알헤시라스37220.59
1982–83Vicente Gómez Mira|비센테 고메스 미라es (2)알헤시라스29130.44
1983–84Luciano Casado|루시아노 카사도es로그로녜스29190.65
1984–85Juan Antonio Muñoz Torres|후안 안토니오 무뇨스 토레스es알헤시라스30150.50
1985–86Carlos Osma|카를로스 오스마es헤레스38240.63
1986–87Miguel Bastón|미겔 바스톤es레알 부르고스42200.47
1987–88Ángel Lozano|안헬 로사노es살라망카29140.48
1988–89Manuel López Santana|마누엘 로페스 산타나es세우타35160.45
1989–90José Luis Montes|호세 루이스 몬테스es멜리야35170.48
1990–91José Domínguez Vázquez|호세 도밍게스 바스케스es루고38210.55
1991–92Luis Raudona|루이스 라우도나es카르타헤나37140.37
1992–93José Miguel Robaina|호세 미겔 로바이나es라스 팔마스28130.46
1993–94Alfonso Núñez Lasea|알폰소 누녜스 라세아es알라베스35120.34
1994–95Laureano Echevarría|라우레아노 에체바리아es누만시아35160.46
1995–96Manuel López Santana|마누엘 로페스 산타나es (2)라스 팔마스33180.55
1996–97Emilio Álvarez Blanco|에밀리오 알바레스 블랑코es자엔36230.63
1997–98César Quesada de la Gala|세사르 케사다 데 라 갈라es레크레아티보35200.57
1998–99José Carlos Burgos Ortigosa|호세 카를로스 부르고스 오르티고사es폴리데포르티보 알메리아30110.37
1999–2000Pedro Dorronsoro|페드로 도론소로es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32120.38
2000–01Armando Ribeiro|아르만도 리베이로es카디스36140.39
2001–02Urko Macías|우르코 마시아스es바라칼도36190.52
2002–03Xavi Oliva|사비 올리바es카스테욘35150.42
2003–04Santiago Lampón|산티아고 람폰es베신다리오37190.51
2004–05Manu Herrera|마누 에레라es레반테 B35170.48
2005–06Moisés Trujillo|모이세스 트루히요es우니베르시다드 라스 팔마스30140.46
2006–07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라요 바예카노34210.61
2007–08Roberto Pampín|로베르토 팜핀es세스타오 리버35190.54
Jesús Unanua|헤수스 우나누아es알리칸테
2008–09José Miguel Bermúdez|호세 미겔 베르무데스es쿨투랄 레오네사34180.52
2009–10David Rangel Pastor|다비드 랑헬 파스토르es온티넨트38250.65
2010–11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 (2)무르시아37200.54
2011–12Oinatz Aulestia|오이나츠 아울레스티아es카디스35220.62
2012–13Francisco Javier Solar González|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솔라르 곤살레스es올림픽 사티바34150.44
2013–14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 (3)라 호야 로르카37190.51
2014–15Oinatz Aulestia|오이나츠 아울레스티아es (2)카디스36190.52
2015–16Iván Crespo|이반 크레스포es예이다 에스포르티우36200.55
2016–17Iván Crespo|이반 크레스포es (2)라싱 산탄데르36200.55
2017–18Andoni Zubiaurre|안도니 수비아우레es레알 소시에다드 B29150.52
2018–19Miguel Martínez de Corta|미겔 마르티네스 데 코르타es로그로녜스35180.51
2019–20Marc Martínez Aranda|마르크 마르티네스 아란다es카르타헤나28190.68
2020–21Kike Royo|키케 로요es바다호스2390.39



## 역대 최다 경기


  • 1,368 – 바라칼도 (시즌당 38경기)
  • 1,366 – 폰테베드라 (시즌당 37.94경기)
  • 1,360 – 쿨투랄 레오네사 (시즌당 37.78경기)


## 역대 최다 승리

  • 547 – 쿨투랄 레오네사 (40.22%)
  • 546 – 바라칼도 (39.91%)
  • 526 – 폰테베드라 (38.50%)


## 역대 최다 무승부

  • 417 – 쿨투랄 레오네사 (30.66%)
  • 413 – 바라칼도 (30.19%)
  • 406 – 멜리야 (31.67%)


## 역대 최다 패배

## 역대 최다 실점

## 최다 승격 플레이오프 참가

  • 11 – 바라칼도


##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최다 승격

  • 5 – 바르셀로나 B


## 최다 관중

4. 1. 최다 시즌 참가

시즌 수구단
36바라칼도
36쿨투랄 레오네사
36폰테베드라


4. 2. 최다 승점

순위구단승점경기당 승점
1바라칼도1,9011.39
2쿨투랄 레오네사1,8781.38
3멜리야1,7731.38


4. 3. 최다 득점

에고이츠 스키아CD 오렌세
Sociedad Deportiva Beasain|SD 베아사인es222001-02 하루나 바반기다
David Prats|다비드 프라츠영어바르셀로나 B
Club Esportiu Mataró Escola de Futbol|CE 마타로es232002-03 키코 라카사데포르티보 알라베스 B222003-04 Paulino Martínez|파울리노 마르티네스es쿠르투랄 레오네사212004-05 케파 블랑코세비야 아틀레티코232005-06 이니고 디아스 데 세리오레알 소시에다드 B242006-07 유리 지 소우자
하비 모레노폰테베드라 CF
코르도바 CF242007-08 Luciano Becchio|루시아노 베키오es메리다 UD222008-09 Tariq Spezie|타리크 스페시에esClub Deportivo Puertollano|CD 푸에르토야노es242009-10 Airam López Cabrera|아이람 로페스 카브레라esClub Deportivo Tenerife "B"|CD 테네리페 Bes272010-11 Mikel Arruabarrena|미켈 아루아바레나esCD 레가네스212011-12 Jesús Perera|헤수스 페레라esCD 아틀레티코 바레아레스232012-13 Aridane Santana|아리다네 산타나esCD 테네리페272013-14 Joselu Gómez|호셀esSD 콤포스텔라302014-15 미겔 리나레스레알 오비에도282015-16 마리아노 디아스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252016-17 보르하 이글레시아스셀타 데 비고 B322017-18 엔리크 가예고UE 코르넬라/에스트레마두라 UD272018-19 아시에르 비야리브레빌바오 아틀레틱232019-20 Rufo Sánchez|루피노 산체스es인테르나시오날 데 마드리드/폰테베드라 CF182020-21 카를리토스 FC 안도라18


4. 4. 최다 조 우승

시즌선수클럽경기실점계수
1977–78Nemesio Alonso|네메시오 알론소es알헤시라스38270.71
1978–79Vicente Amigo|비센테 아미고es김나스틱 타라고나35180.51
1979–80Jesús González Sanisidro|예수 곤잘레스 사니시드로es쿨투랄 레오네사35260.74
1980–81Joan Capó|호안 카포es셀타 비고33170.51
1981–82Vicente Gómez Mira|비센테 고메스 미라es알헤시라스37220.59
1982–83Vicente Gómez Mira|비센테 고메스 미라es (2)알헤시라스29130.44
1983–84Luciano Casado|루시아노 카사도es로그로녜스29190.65
1984–85Juan Antonio Muñoz Torres|후안 안토니오 무뇨스 토레스es알헤시라스30150.50
1985–86Carlos Osma|카를로스 오스마es헤레스38240.63
1986–87Miguel Bastón|미겔 바스톤es레알 부르고스42200.47
1987–88Ángel Lozano|안헬 로사노es살라망카29140.48
1988–89Manuel López Santana|마누엘 로페스 산타나es세우타35160.45
1989–90José Luis Montes|호세 루이스 몬테스es멜리야35170.48
1990–91José Domínguez Vázquez|호세 도밍게스 바스케스es루고38210.55
1991–92Luis Raudona|루이스 라우도나es카르타헤나37140.37
1992–93José Miguel Robaina|호세 미겔 로바이나es라스 팔마스28130.46
1993–94Alfonso Núñez Lasea|알폰소 누녜스 라세아es알라베스35120.34
1994–95Laureano Echevarría|라우레아노 에체바리아es누만시아35160.46
1995–96Manuel López Santana|마누엘 로페스 산타나es (2)라스 팔마스33180.55
1996–97Emilio Álvarez Blanco|에밀리오 알바레스 블랑코es자엔36230.63
1997–98César Quesada de la Gala|세사르 케사다 데 라 갈라es레크레아티보35200.57
1998–99José Carlos Burgos Ortigosa|호세 카를로스 부르고스 오르티고사es폴리데포르티보 알메리아30110.37
1999–2000Pedro Dorronsoro|페드로 도론소로es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32120.38
2000–01Armando Ribeiro|아르만도 리베이로es카디스36140.39
2001–02Urko Macías|우르코 마시아스es바라칼도36190.52
2002–03Xavi Oliva|사비 올리바es카스테욘35150.42
2003–04Santiago Lampón|산티아고 람폰es베신다리오37190.51
2004–05Manu Herrera|마누 에레라es레반테 B35170.48
2005–06Moisés Trujillo|모이세스 트루히요es우니베르시다드 라스 팔마스30140.46
2006–07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라요 바예카노34210.61
2007–08Roberto Pampín|로베르토 팜핀es세스타오 리버35190.54
Jesús Unanua|헤수스 우나누아es알리칸테
2008–09José Miguel Bermúdez|호세 미겔 베르무데스es쿨투랄 레오네사34180.52
2009–10David Rangel Pastor|다비드 랑헬 파스토르es온티넨트38250.65
2010–11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 (2)무르시아37200.54
2011–12Oinatz Aulestia|오이나츠 아울레스티아es카디스35220.62
2012–13Francisco Javier Solar González|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솔라르 곤살레스es올림픽 사티바34150.44
2013–14Alberto Cifuentes Martínez|알베르토 시푸엔테스 마르티네스es (3)라 호야 로르카37190.51
2014–15Oinatz Aulestia|오이나츠 아울레스티아es (2)카디스36190.52
2015–16Iván Crespo|이반 크레스포es예이다 에스포르티우36200.55
2016–17Iván Crespo|이반 크레스포es (2)라싱 산탄데르36200.55
2017–18Andoni Zubiaurre|안도니 수비아우레es레알 소시에다드 B29150.52
2018–19Miguel Martínez de Corta|미겔 마르티네스 데 코르타es로그로녜스35180.51
2019–20Marc Martínez Aranda|마르크 마르티네스 아란다es카르타헤나28190.68
2020–21Kike Royo|키케 로요es바다호스2390.39


4. 5. 최다 승격

구단승격 횟수
알헤시라스4
카디스3
레오네사, 라스 팔마스, 카르타헤나, 로그로녜스2회es
김나스틱 타라고나, 셀타 비고, 헤레스, 레알 부르고스, 살라망카, 세우타, 멜리야, 루고, 알라베스, 누만시아, 자엔, 레크레아티보, 알메리아, 김나스티카 토렐라베가, 바라칼도, 카스테욘, 베신다리오, 레반테 B, 우니베르시다드 라스 팔마스, 라요 바예카노, 세스타오 리버, 알리칸테, 온티넨트, 무르시아, 올림픽 사티바, 라 호야 로르카, 예이다 에스포르티우, 레이싱 산탄데르, 레알 소시에다드 B, 바다호스1회es


참조

[1] 웹사이트 Comunicado de la RFEF en relación con las competiciones no profesionales del fútbol español https://www.rfef.es/[...] RFEF 2020-05-06
[2] 뉴스 La Federación desvela el misterio: La nueva Segunda B se denominará Primera División RFEF https://www.abc.es/d[...] 2020-09-15
[3] 웹사이트 Suben a 2ªB los cuatro equipos que no pudieron disputar la fase adicional de ascenso de 3ª División https://www.rfef.es/[...] 2020-08-10
[4] 웹사이트 A Segunda con llenos de Primera http://www.abc.es/he[...] ABC 2005-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